한약재

대나무

이경승 2022. 8. 18. 13:57

◎ 대나무; 대나무중에 조릿대가 최고, 잎, 줄기, 뿌리

      #. 대나무잎; 죽엽차,

                          간, 콩팥, 고혈압, 당뇨, 눈, 빈혈, 골다공, 고혈압, 항암, 항염,

                          뇌졸중, 진정, 해열, 천식, 치아, 월경통, 동맥경화, 콜레스,

                          기침, 가래, 비만, 10~20g/일,

      #. 잎 법제; 세척-->썰어서 말린다-->덕거나 삶는다-->건조-->차+대추

      #. 뿌리; 간, 간염, 위, 위궤양, 당뇨, 고혈압, 10~20g/일,

      #. 죽순; 생으로 먹으면 결석,

              --- 식재료로 법제 하는 법

                      반으로 자른다-->쌀뜨물에 30분간 담근후

                      -->쌀뜨물 또는 소금물에 1시간 삶는다-->씻는다

                      -->찬물에 1시간 담가 수산(결석)을 제거

                      -->식재료로 사용하거나 냉동보관

              --- 약재로 법제 하는 법

                       잘게 자른다-->찜기에 증기가 올라오면 면보자기를 깔고 죽순을 얹고

                       면보자기로 덮어 1분간 찐다-->식힌다

                        -->팬에 덕음과 식힘을 6번 정도 반복-->3시간 그냥 둔다

                        -->통풍이 잘되는 그늘에서 말린다-->차

                   대장암, 소갈, 나트륨배출, 당뇨, 고혈압, 위, 소화, 진정, 불면, 눈,

                   혈액순환, 혈관질환, 청혈, 콜레스, 동맥경화, 심근경색, 고지혈,

                   뇌기능활성, 치매,

                   항염, 피부염, 구내염, 궤양, 해독, 상처회복, 피부재생,

                    비만, 변비, 면역, 항산화,

      #. 죽향차; 좀 큰 죽순-->껍질은 까고 반으로 갈라 대나무만 잘게 썰어

                       햇볕에 말린다-->대추살과 같이 넣고 먹는다.

                   불면, 고혈압, 당뇨, 고지혈, 청혈, 눈, 우울증,

 

    ○ 조릿대=산죽=죽엽; 고산, 제주, 잎, 줄기, 뿌리, 씨앗, 열매(7~8월), 잎,

                            삶는다-->껍질제거-->씻어 썬다-->그늘에 말린다

                             -->볶아서 차로(+대추, 생강) 또는 말리고 덕어 차,

                    항암(구강암, ), 당뇨, 폐암, 간암, 간, 간염, 간경화, 간복수, 눈,

                    위, 위염, 위궤양, 위산과다, 십이장궤양, 콩팥, 심장, 담낭, 강장,

                    청혈, 혈관, 혈전, 동맥경화, 콜레스, 고혈압, 당뇨, 당뇨망막증, 소갈,

                    콩팥, 정력, 홧병, 건망증, 치매, 노화,

                    항염, 구내염, 항균, 해열, 이뇨, 천연방부제, 불면증, 우울증, 만병통치,

      #. +대추, 감초;

      #. 담금주; 말려서 담는다,

 

    ○ 오죽; 잎, 뿌리,

                항암, 눈, 간, 콩팥, 폐, 정력, 당뇨, 고혈압, 관절염, 불면증, 중풍,

 

    ○ 신우대; 정력, 혈압, 당뇨, 배뇨,

 

블로그에 직접오시면 다양한 내용과 매일 업데이트가 있습니다.

각 약재별 법제하는 법은 매일 약재설명(가나다순으로)에서 업데이트중입니다.

https://blog.daum.net/gs3307

010-7377-3307

'한약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파  (0) 2022.08.27
대추나무  (0) 2022.08.22
당근  (0) 2022.08.17
참당귀=토당귀  (0) 2022.08.14
일당귀=왜당귀  (0) 2022.08.14